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공부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본 개념 2편

by tlgusdl03 2025. 6. 13.

퍼블릭,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차이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접근성에 따라 나뉘게 된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경우 일반 대중이 접근할 수 있으며, 프라이빗은 특정 조직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접근성이외에도 관리주체, 보안, 비용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예시로는 대표적으로 Amazon AWS, Microsoft Azure, Google GCP, Naver Cloud 등이 있고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기업별 Enterprise Cloud, 은행/금융권 자체 클라우드 등이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접근성 다수의 고객들이 자유로이 접근 가능 특정 조직만 접근 가능
관리주체 클라우드 공급 업체 클라우드 공급 업체 또는 조직 자체 관리
보안 다수의 고객이 이용하는 만큼 보안의 위협이 있을 수 있음 특정 조직만 접근하므로 보안성이 뛰어남
비용 온디멘드, 예약, 스팟등 상황에 맞는 결제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다,
초기 비용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기간이 길어지면 직접 구축하는 것에 비해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인프라 구축 및 관리 비용, 사용량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결합하여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다,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대규모 트래픽처리나 빠른 확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유연성과 보안을 둘 다 신경쓸 수 있다.

멀티 클라우드는 2개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다, 각 클라우드의 특화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클라우드 제공업체 전반을 어우르는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대비하여 이중화를 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구성 프라이빗 + 퍼블릭 2개 이상의 퍼블릭
목적 보안 + 유연성 클라우드 특화 및 장애 대비
예시 AWS Outposts + AWS AWS + GCP

 

'클라우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본 개념 1편  (2) 2025.06.13
1. 도커와 컨테이너  (0)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