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공부3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본 개념 2편 퍼블릭,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차이이름에서 알 수 있듯 접근성에 따라 나뉘게 된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경우 일반 대중이 접근할 수 있으며, 프라이빗은 특정 조직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접근성이외에도 관리주체, 보안, 비용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퍼블릭 클라우드예시로는 대표적으로 Amazon AWS, Microsoft Azure, Google GCP, Naver Cloud 등이 있고프라이빗 클라우드는 기업별 Enterprise Cloud, 은행/금융권 자체 클라우드 등이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프라이빗 클라우드접근성다수의 고객들이 자유로이 접근 가능특정 조직만 접근 가능관리주체클라우드 공급 업체클라우드 공급 업체 또는 조직 자체 관리보안다수의 고객이 이용하는 만큼 보안의 위협이 있을 수 있음특정 조직만 접근하므로.. 2025. 6. 13.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본 개념 1편 클라우드? AWS란 무엇일까?IT 계열 학과 학생들이거나 평소 IT 업계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라면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는 한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라 생각한다.또는 어도비, figma, office 365, Gmail등을 사용하여도 "진행 사항을 클라우드에 동기화"와 같은 문구를 한번 쯤 보았을 것이라 생각한다.이렇듯 일상생활에 근접한 단어 클라우드, 하지만 정확히 그게 뭔데?와 같은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개념을 확실시 하고자 한다.클라우드(Cloud)란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를 통해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 환경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출처: https:/.. 2025. 6. 13.
1. 도커와 컨테이너 docker imagesdocker image ls서론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배포와 운영일 것이다. 또한 최근 클라우드가 각광 받으며 관련된 도커나, 쿠버네티스 기술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도 늘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만큼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공부를 시작하기에 앞서 이 기술들이 왜 쓰이는지부터 알아보자중요한 것은 추상화, 격리 컨테이너는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을 포함한 전체 실행(runtime)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고 격리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전체 기능을 유지하면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환경(개발, 테스트, 프로덕션 환경 등) 간에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는 IT 보안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컨테이너.. 2024. 7. 19.